박종암 교수 약력 2004년 한국노동교육원 공공부문 노동교육 개설 2007년 학교비정규직 노무관리과정 개설 고용노동연수원 공무원·교원·비정규직 노무관계 강의 (16년) 국립한경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노동복지학과·행정학과 강의 중앙공무원교육원, 행안부공무원교육원, 교육부연수원 강의 전국 지자체 및 기관, 기업, 노동조합 등에서 2,500여 회 강의 평택대학교 노사교육연수원 개설 저서 교원노조 단체협약 체결 실태분석 연구 공무원·교원·일반노조법 실무해설 (공저) 사람과뉴스: 안녕하세요, 교수님. 오늘은 노동 철학과 자영업자의 노동자성 인정 문제, 그리고 평택대학교에서 새롭게 개설한 글로벌 리더 최고위 과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려고 합니다. 먼저, 교수님께서 현재 연구하고 계신 분야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박종암 교수: 안녕하세요. 저는 평택대학교에서 노동 철학과 노동 심리학을 연구하고 있으며, 노사교육연수원의 원장으로서 노동 교육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자영업자의 노동자성 문제뿐만 아니라, 글로벌 리더십과 미래 인재 양성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자영업자의 노동자성 문제와 법적 보호 필요성 사람과뉴스: 자영업자의 노동자성이 왜 중요
이규혁 리더십학 박사 인터뷰 한국리더십디자인연구원(KLDI) 글로벌인재개발원 심리상담센터 "한울타리" 아이앤드디토리아(IDK) 사람과뉴스: 이규혁 박사님, 최근 ‘뉴 리더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기존의 리더십과 어떻게 다른지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이규혁 박사: 과거의 리더십이 명확한 위계질서를 바탕으로 한 ‘통제’와 ‘지시’ 중심이었다면, 오늘날의 리더십은 ‘사람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제 조직 내에서 사람은 더 이상 단순한 관리 대상이 아닙니다. 리더는 구성원들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협력과 신뢰를 기반으로 조직을 운영해야 합니다. 특히, 저는 리더십을 ‘사람의 마음을 얻는 기술’이라고 정의하고 싶습니다. 강한 통제력이 아니라, 구성원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미치고, 그들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이끌어내는 것이 진정한 리더십이죠. 평택대학교 최고위 과정 신설 : 뉴 글로벌 리더 양성을 위한 첫걸음 사람과뉴스: 박사님께서는 현재 평택대학교에서 리더십 최고위 과정을 개설 하신다고 하는데, 이 과정이 특별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규혁 박사: 우리나라에는 아직 ‘리더십’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교육하는 체계적인 과정이 많지 않습니다.
면역물질(트랜스퍼 팩터)이 하는 일(사진출처 면역전문회사 포라이프) 쳇GPT에게 기본적인 인터뷰 질문 외에 우리가 잘 모르는 면역물질(트랜스퍼 팩터)에 대한 질문을 하자 몇초만에 인터뷰 기사가 만들어졌다. 코로나 19와 같은 펜데믹 현상이 또 오고 그에 따른 대비책으로 물어본 생소한 면역물질인 트랜스퍼 팩터에 대한 질문에 대한 정보도 알려준다. 산업혁명이 300년, 정보혁명은 30년, 제4차 산업혁명은 15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한다. 2016년 다보스포럼에서 클라우스 슈바프 의장에 의해 등장한 4차 산업혁명 용어지만, 실제로 시작된 것은 2010년쯤 이란 게 대체적인 인식이다. 4차 산업혁명이 몇 년 안에 끝나게 된다는 뜻이다. 제4차 산업혁명의 인공지능(AI),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3D프린터, 메타버스(metaverse·현실과 가상이 혼합된 세계), 5세대(5G) 통신, 로봇, 바이오 기술이 서로 연결되고 여기에 상상력이 결합돼 현실을 초월하는 새로운 문화 탄생 바로 5차 산업혁명이다. 그만큼 모든 것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그 영향력을 모든 일에 빠르게 문화를 바꿔 놓는다. 우리도 빠른 변화에 어떻게 적응해야 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