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과뉴스 편집국 기자 | [제58회 단종문화제] 내가 찜한✅ 단종문화제 친구야 같이 가자 이벤트 다가오는 영월 봄 축제 역사와 문화가 어우러진 단종문화제에서 어떤 행사가 가장 기대되시나요? 같이 가고 싶은 친구에게 단종문화제를 알려주세요 [제58회 단종문화제] 일시 : 2025.04.25.(금) ~ 2025.04.27.(일) 장소 : 영월 동강둔치 일원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 61-19) 이벤트 기간 2025. 4. 14.(월) ~ 4. 24.(목) 당첨자 발표 2025. 4. 30.(수) 이벤트 상품 - BBQ 황금올리브치킨 + 콜라 1.25L(5명) - 스타벅스 아이스카페 아메리카노 T(25명) - 투썸 생딸기 듬뿍 우유 생크림 [쁘띠](10명) ✍️이벤트 참여방법 1. 단종문화제 공식 SNS 채널 팔로우 2. 네이버 폼에 단종문화제에 가장 가고 싶은 행사와 이유, 참여자 정보 작성하기 https://naver.me/IMy7L7RA 3. 이벤트 게시글에 같이 가고 싶은 친구 태그해 댓글 남기기 (@___ OO아 단종문화제 같이 가자~!)
사람과뉴스/편집부 |
사람과뉴스 편집국 기자 | ‘평택 꽃 나들이’ 행사가 평택시농업생태원에서 12일(토)부터 16일(수)까지 진행
[사람과뉴스 - 업체 탐방 인터뷰] 평택시 서부지역 기술인양성학원 하영수 원장 자영업자의 길은 쉽지 않다. 경제적 부담, 정부 지원의 한계, 인력 양성의 어려움 등 수많은 난관이 존재한다. 하지만 자신의 전문성을 살려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자 묵묵히 노력하는 사람들이 있다. 오늘 사람과뉴스는 평택에서 기술자 양성과 자격증 교육을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에게 희망을 주고 있는 기술인양성학원(원장 하영수)을 찾았다. 배움과 실무, 두 마리 토끼를 잡다 사람과뉴스: 학원에서 운영하는 과정이 다양하다고 들었다. 어떻게 진행되나? 기술인양성학원: 저희는 크게 두 가지 과정이 있습니다. 하나는 자격증 과정, 또 하나는 실무자 과정입니다. 실무 과정에는 파일·도배 시공 과정과 최근 주목받고 있는 집수리 전문가 양성 과정이 있는데, 이 과정은 1개월 단기 집중 교육으로 운영됩니다. 사람과뉴스: 평택시에서 운영하는 ‘셀프 집수리 과정’도 학원에서 ? 기술인양성학원: 네, 평택시 평생학습센터에서 의뢰를 받아 운영 중입니다. 6주 과정으로, 기본적인 집수리 기술을 익혀서 집에서 직접 간단한 수리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합니다. 프로그램이 인기가 많아 신청하려면 6개월 정도 대기해야 할
이충헌 이사장은 지역 주민들의 안전성과 생활 편리성을 증진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활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평택미래에너지시민협동조합의 수장을 맡고 있다. 협동조합을 통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을 개발하고, 태양광 LED 안전 시설 보급을 확대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충헌 이사장 평택미래에너지시민협동조합 프로필 2024년 국토부 등록업체로 선정 태양광 LED 안전 시설(횡단보도, 보안등) 설치 및 운영 LED 제조사와 협력하여 조합원의 배당 수익 창출 지역 주민 안전을 위한 태양광 에너지 프로젝트 추진 협동조합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지역 사회 기여 확대 비전: 지역 사회와 협력하여 친환경 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안전 인프라를 구축하고, 주민이 함께 성장하는 협동조합 모델을 만들어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람과뉴스: 이 태양광 시설을 개발하게 된 동기는? 이충헌 이사장: 저희 협동조합은 어두운 지역의 환경을 개선하고, 보다 안전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이 제품을 개발했습니다. 특히 야간 자전거도로를 다녀보면 너무 어두워서 위험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기존 볼라드(도로 경계 기둥)도 제대로 배치되지 않거나 시인성이 낮아 사고 위험이 컸어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람과뉴스] 안근학 기자= 평택교육지원청(교육장 김윤기)이 평택상공회의소와 협력하여 학부모를 위한 ‘2025 직장으로 찾아가는 학교폭력 예방 및 자녀와의 소통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바쁜 직장인 학부모들이 학교 방문 없이도 교육 정보를 얻고 자녀 교육에 대한 고민을 나눌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프로그램은 크게 ▲학교폭력 예방 교육 ▲자녀와의 소통 지원 교육 두 가지 영역으로 구성됐다. 특히, 최신 교육 정보와 진로 상담, 올바른 소통 방법 등을 주제로 직장에서 진행되는 강의와 상담을 제공해 학부모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김윤기 평택교육지원청 교육장은 “자녀 교육에 대한 관심은 많지만, 바쁜 일상으로 인해 소통 시간이 부족한 학부모들이 많다”라며 “이번 프로그램이 직장으로 찾아가 교육적 고민을 함께 나누고 해결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부모와 자녀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서권호 교육국장은 “이번 프로그램이 학부모들에게 자녀와의 관계를 새롭게 정리하는 기회가 되고, 궁극적으로는 건강하고 안전한 가정을 만드는 데 기여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평택교육지원청은 주민자치센터와 아파트 입
박종암 교수 약력 2004년 한국노동교육원 공공부문 노동교육 개설 2007년 학교비정규직 노무관리과정 개설 고용노동연수원 공무원·교원·비정규직 노무관계 강의 (16년) 국립한경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노동복지학과·행정학과 강의 중앙공무원교육원, 행안부공무원교육원, 교육부연수원 강의 전국 지자체 및 기관, 기업, 노동조합 등에서 2,500여 회 강의 평택대학교 노사교육연수원 개설 저서 교원노조 단체협약 체결 실태분석 연구 공무원·교원·일반노조법 실무해설 (공저) 사람과뉴스: 안녕하세요, 교수님. 오늘은 노동 철학과 자영업자의 노동자성 인정 문제, 그리고 평택대학교에서 새롭게 개설한 글로벌 리더 최고위 과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려고 합니다. 먼저, 교수님께서 현재 연구하고 계신 분야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박종암 교수: 안녕하세요. 저는 평택대학교에서 노동 철학과 노동 심리학을 연구하고 있으며, 노사교육연수원의 원장으로서 노동 교육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자영업자의 노동자성 문제뿐만 아니라, 글로벌 리더십과 미래 인재 양성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자영업자의 노동자성 문제와 법적 보호 필요성 사람과뉴스: 자영업자의 노동자성이 왜 중요
사람과뉴스 안근학 기자 = 경기도교육청교육연수원(원장 심한수)이 2025년 신규임용예정 교사 2,415명을 대상으로 역량 강화 직무연수를 운영한다. 이번 연수는 신규 교사들이 교육 현장에 적응하고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유·초·중등 신규교사 대상 30시간 집중 연수 연수는 2월 11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되며, 유치원 148명, 초등 1,319명, 중등 948명 등 총 2,415명의 신규 교사를 대상으로 한다. 과정은 원격(단방향·쌍방향) 및 집합 연수로 구성되며, 총 30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운영된다. 주요 강좌는 ▲교수 역량(수업, 학습지원, 교수) ▲교직 소양 ▲교과교육과정의 이해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이해와 실제 ▲수업 고수들과의 만남 등 실습 중심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신규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필수적인 역량을 기르고, 교육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교육 철학 확립과 실질적 지원 강화 경기도교육청교육연수원은 신규 교사들이 교육 철학을 확립하고, 학생 지도 및 수업 운영 역량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심한수 원장은 실존주의 교육철학자 볼노프의 말을 인용하며 “교육에 앞서 학
사람과뉴스 안근학 기자 = 경기도교육정보기록원(원장 정수호)이 교원 업무 효율화를 통해 학교 중심 교육행정을 지원하기 위해 ‘2025 경기도 교육행정정보시스템(나이스) 현장자문단’을 운영한다. 나이스 현장자문단, 교원 업무 효율화 지원 이번 ‘나이스 현장자문단’에는 초·중등·특수 교원 57명이 선발되어 경기도 대표로 활동한다. 이들은 2025년 2월 28일까지 임기를 수행하며, 학교 현장에서 나이스 사용을 돕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맡는다. 현장자문단은 △나이스 기능 연구를 통한 교원 업무 지원 △기능 개선에 필요한 사항 발굴 △사용자 의견 수렴 및 서비스 개선 요구에 신속 대응 등의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교원들의 행정 업무 부담을 줄이고, 보다 효율적인 교육행정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2022 개정 교육과정·2028 대입 개편 반영한 지원 강화 올해는 특히 2022 개정 교육과정과 2028 대입 개편안 도입에 따라, 나이스 사용자 지침서를 개발하고 업무 시기별 집중 자문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나이스 개선 사항을 빠르게 현장에 안착시키고,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을 지원할 방침이다. 경기도교육정보기록원 정수호 원장은 “학교 교육활동이